jsp (17) 썸네일형 리스트형 Cookie 와 Session http 프로토콜에서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와 서버(웹컨테이너) 의 연결 및 유지시켜 주기 위한 Cookie 와 Session 방식이 있다. http 프로토콜은 특징으로 수많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한번 요청(requset) 한 정보를 서버가 응답(response) 하자마자 바로 연결을 해제해버린다. 단, 이런 경우에 웹사이트 상 로그인 접속의 의미가 없어진다는 단점이 있다.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 후 장바구니에 하나의 제품을 담은 이후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사용자가 저장해두었던 데이터(기존연결정보) 가 유지되지 않아 로그인과 장바구니의 기능이 상실된다..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와 서버(웹컨테이너) 가 연결한 흔적을 남겨.. JSP 내장객체 1. config 객체 JSP 페이지가 속한 웹어플리케이션의 초기상태와 관련된 기능을 하는 내장객체로, JSP 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아도 하나의 해당 Servlet 에서만 언제든지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. 태그를 사용한다. config 객체 구조 및 사용 예시1을 알아본다. => getServletConfig.getInitParameter(값); config 객체 사용 예시2를 알아본다. 위의 이미지의 방식과 아래의 이미지의 방식 모두 화면에 동일하게 출력된다. 원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. 1. 선언태그 를 통해 변수를 선언한다. 2. 스크립틀릿 태그 를 통해 내장객체 중 config 객체를 사용하여 Servlet 이 초기화 될때의 파라미터 adminId 와 adminPw 를 가져와 변수에 .. JSP request, reponse 란? Servlet 와 JSP 의 재실행 방법 Servlet 은 웹서버인 WAS(Web Application Server) 를 stop 했다가 다시 start 해야 한다. JSP 는 웹브라우저 상 새로고침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는 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가져올 수 있으며, response 객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웹브라우저(view 단) 상에 보여줄 수 있다. JSP 스크립트 1. Servlet 과 JSP 구조 차이 2. JSP 주요 스크립트 크롬에서 페이지 소스보기를 하면 HTML 코드만 보여지고 Java 코드는 보여지지 않는다. 즉, Java 코드는 웹 컨테이너에서 동작을 한 이후에 빠져버리고, 실제로 view 단(웹브라우저)에는 HTML 코드만 보인다. ** view 단 : 웹브라우저 상 CIient 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. 1. 선언 태그 : JSP 페이지에서 자바의 멤버변수 또는 메소드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. 2. 스크립틀릿 태그 : JSP 페이지에서 자바 코드를 넣기 위한 태그이다. 선언 태그가 Java의 멤버변수 또는 메소드를 선언할 때에만 사용한다면, 스크립틀릿 태그는 그 외의 자바코드를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. 3. 표현식 태그 : 자바의 변수 및 .. JSP 파일 HTML5 포맷 설정하는 방법 JSP 파일 HTML5 포맷 설정하는 방법은 이클립스 상단메뉴바 [ Window ] - [ Preferences ] - [ Web ] - [ HTML Files ] - [ Editor ] - [ Templates ] - [ New ] 새로만들기 Name : html5 format (임의로 설정) Descriptior : html5 format (임의로 설정) Pattern : 아래와 같이 넣어주는 것이 중요하다! [ Apply ] - [ Apply and Close ] 클릭하면 된다. JSP 란 JSP 란 JSP 는 HTML 코드 안의 Java 코드 라고 보면 된다. 즉,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이다. 웹 컨테이너 구조 개발자는 xxx.jsp 파일 까지만 작업하면 된다. 나머지 작업은 웹서버(웹컨테이너, tomcat)에서 하며, HTML 파일을 통해 사용자에게 응답한다. xxx_jsp.java 는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java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. 이것을 컴파일하면 xxx_jsp.class 파일이 되며, 링크작업을 하기 위해 xxx_jsp.obj 파일까지 만들게 된다. ※ WAS(Web Application Server,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) : WAS 안에 웹컨테이너(tomcat) 이 있다, JSP 파일 생성하기 JSP 파일(view 단 페이지).. [JSP, Servlet] forward 와 response.sendRedirect 차이 forward 는 db에서 가져온 값을 jsp에 저장시켜두고, jsp 결과물을 view 단 이미지를 꾸며주도록 전송하는 것이다. 해당페이지에서만 키값을 통해 내용물을 꺼내와 꾸민다. response.sendRedirect(request.getContextPath()+ "/personSelect.do"); 는 이미 다 만든 이미지가 있는 웹사이트 화면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. ** URL 페이지의 이동 : 자바 : response.sendRedirect(); 자바스크립트 : location.href="이동할 URL 경로명"; [Servlet] Servlet 생성하는 방법 이클립스에서 우리가 생성한 Dynamic Web Project 폴더의 하위폴더인 src/main/java 에서 Servlet 새로만들기를 한다. [ 오른쪽 마우스 클릭 ] - [ New ] - [ Servlet ] Class name 설정하기 후, Next 클릭하기 URL mappings: 에서 Edit 하여 원하는 Servlet Pattern 지정하기 후, Next 클릭하기 여기서 Servlet Pattern 은 웹브라우저 상 url 맨 뒤에 나타나는 주소를 설정하는 것이다. 아래와 같이 체크박스 체크 후, Finish 하기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