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ngauge/JSP, Servlet

JSP 스크립트

예욤 2022. 9. 4. 15:37

1.  Servlet  과  JSP 구조 차이

 

 

2.  JSP 주요 스크립트

크롬에서 페이지 소스보기를 하면

HTML 코드만 보여지고 Java 코드는 보여지지 않는다.

즉, Java 코드는 웹 컨테이너에서 동작을 한 이후에 빠져버리고, 실제로 view 단(웹브라우저)에는 HTML 코드만 보인다.

** view 단 : 웹브라우저 상 CIient 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.

 

 

 1.  선언 태그 : JSP 페이지에서 자바의 멤버변수 또는 메소드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.

 

 

 2.  스크립틀릿 태그 : JSP 페이지에서 자바 코드를 넣기 위한 태그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선언 태그가 Java의 멤버변수 또는 메소드를 선언할 때에만 사용한다면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스크립틀릿 태그는 그 외의 자바코드를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.

 

 

 3.  표현식 태그 : 자바의 변수 및 메소드의 반환값을 출력하는 태그이다.

 

 

 4.  주석 태그 : JSP 주석은 jsp 파일이 서블릿 파일로 변환할 때 제외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즉, view 단(웹브라우저) 에는 보여지지 않는다. 반면, HTML 주석은 웹 브러우저상 보여진다.

 

 

 5.  지시어 : 서버에서 JSP 페이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정의이다.

 

 

  1)  Page :  페이지의 기본 설정을 하는데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HTML 파일에 JSP 문법을 추가하여 JSP 파일을 만들 때 사용한다.

 
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
    pageEncoding="UTF-8"%>

 

 

  2)  include :  include file 을 설정하는데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공통적인 코드를 사용할 때 중복하여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공통적인 코드는 외부 파일에 저장하여 그 파일의 내용물을 매번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주로 header.jsp 와 footer.jsp 을 사용한다.

 

<jsp:include page="header.jsp" />

HTML 코드

<jsp:include page="footer.jsp" />

 

 

  3)  taglib :  외부라이브러리 태그를 설정하는데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액션태그(action tag) 중에서 표준액션(Standard action) 이 아닌 커스텀액션(Custom action) 에서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커스텀액션은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만 하는데,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JSTL(JSP Standard Tag Library) 이다. 아래는 JSTL 을 사용한 taglib 태그이다.       

 

==== JSTL(JSP Standard Tag Library) 사용하기 ====
<%@ taglib prefix="c"  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" %>
<%@ taglib prefix="fmt"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fmt" %>